안압이 높을 때의 증상, 안압 낮추는 방법
얼마 전 갑자기 눈이 침침함을 느껴 안과에 다녀왔습니다.
안과에서 기본 검진을 하게 될 경우 기본 검진에 안압 측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안압이라는 것이 매우 생소하게 느껴졌는데 그래서 안압이란 무엇인지, 정상 안압의 범위, 안압이 만약 높아지면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 자주 눈이 충혈됩니다.
- 안압의 원인이 반드시 안구건조증은 아니지만 안압이 높아지는 경우에는 안구건조증이 매우 흔하게 발생합니다.
- 눈의 피로도가 높아져 자주 피로함을 느끼며 눈이 무겁게 느껴집니다.
눈이 뻑뻑한 느낌이 들고 눈에서 열감이 느껴지며 시야가 흐릿하게 보이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눈의 이물감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 시야가 좁아질 수 있으며 시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꼭 눈에서만 불편함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두통, 어깨 결림 등 다른 부위에서도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안압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시신경이 손상되는 것은 아니지만 안압이 높아질 경우 시신경에 손상이 올 수 있고 이때문에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압
안구의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뜻하는 안압은 녹내장을 진단하는 데 있어 주요 지표로 사용됩니다. 안압은 당뇨, 고혈압 등의 질환이나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사용, 피로와 스트레스 등으로 높아질 수 있습니다.
안압의 정상 범위
대부분 사람들의 안압은 평균 15mmHg 정도로 양쪽 눈의 차이가 3mmHg 이하일 때 좋은 안압의 범위로 보고 있습니다. 정상 안압은 10~20mmHg 사이이며 21 이상일 경우 안압이 높은 경우로 별도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안압이 높아지는 원인
건조한 환경으로 인한 안구 건조증,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을 자주 보는 습관, 육체적으로 힘을 많이 쓰는 일을 하는 경우 안압은 높아질 수 있습니다.안압이 높을 때 증상
눈의 통증, 눈의 이물감, 눈의 건조감 등이 느껴질 경우 안압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으며 안압이 높을 경우 녹내장 등과 같은 안과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치료의 방법으로는 안압을 낮추기 위한 안약을 넣는 방법, 안압하강제를 복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시신경이 한번 손상되면 회복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불편감이 느껴지면 빠르게 안과를 찾는 것이 좋습니다.
안압이 높을 때 나타나는 증상
- 눈에 욱신거리는 통증이 느껴지거나 압통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자주 눈이 충혈됩니다.
- 안압의 원인이 반드시 안구건조증은 아니지만 안압이 높아지는 경우에는 안구건조증이 매우 흔하게 발생합니다.
- 눈의 피로도가 높아져 자주 피로함을 느끼며 눈이 무겁게 느껴집니다.
눈이 뻑뻑한 느낌이 들고 눈에서 열감이 느껴지며 시야가 흐릿하게 보이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눈의 이물감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 시야가 좁아질 수 있으며 시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꼭 눈에서만 불편함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두통, 어깨 결림 등 다른 부위에서도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안압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시신경이 손상되는 것은 아니지만 안압이 높아질 경우 시신경에 손상이 올 수 있고 이때문에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
안압이 높을 때 할 수 있는 치료로는 약물치료, 레이저 치료 등이 있으며 치료나 예방을 위해 생활 습관의 개선도 필요합니다.
1. 약물 치료 : 안압을 낮추는 안약을 처방받아 안약으로 치료합니다.
2. 수술 : 안압을 낮추는 수술로 레이저 치료가 있으며 만약 녹내장으로 이어진다면 이 경우에도 수술이 필요합니다.
3. 생활 : 생활 속에서 안압을 낮추거나 예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 과체중이 안압을 올리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적당한 체중유지를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운동을 할경우 웨이트 등 힘을 쓰는 운동보다는 가볍게 달리기나 실내 자전거 등의 유산소 운동이 더 좋습니다.
- 옆으로 누워서 자거나 엎드리는 것은 좋지 않으므로 수면 시 똑바로 누워서 자는 것이 좋습니다.
- 카페인을 과다하게 섭취하는 것은 안압을 높이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커피 등 카페인이 든 음식은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음주와 흡연은 안압을 높이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스트레스 역시 안압을 높이는 원인이 될 수 있어 편안한 마음가짐으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 꽉 끼는 옷을 착용하거나 잘못된 넥타이의 사용 등도 좋지 않습니다.
눈의 건조함이 느껴질 경우 안압이 높지 않더라도 인공눈물 등을 사용하는 관리가 필요합니다.
안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요즘 저는 눈이 자주 뻑뻑함을 느끼고 눈이 피로하다고 느끼는데 충분한 휴식을 취해도 눈은 계속 뻑뻑하고 피로하게 느껴지고 또 그런 증상이 지속되면 눈뿐만 아니라 온몸이 피로하다고 느껴지는 등의 불편함이 있습니다.
안과 검진에서는 큰 문제는 없다고 하여 안심하긴 했지만 그래도 앞으로 더 관리하며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밤에 자려고 누웠을 때 어두운 곳에서 스마트폰을 보지 않으려고 하고 건조함이 느껴질 때는 자주 인공눈물을 넣어주는 등의 노력을 하고는 있지만 그것도 잠시일 뿐 지속적으로 실천하기는 참 어렵습니다.
사실 큰 문제가 아닌 경우가 더 많긴 하겠지만 별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다가 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니 조금이라도 불편할 때 검진을 받아보는 것도 좋다고 생각됩니다.
안과 검진 같은 경우 국가 건강검진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잘 받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3,40대 이상이 되면 6개월에서 1년에 한 번 정도는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