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된 뼈가 붙는데 걸리는 시간과 회복 시 주의할 점

몇 년 전에 골절로 꽤 오랫동안 고생을 한 적이 있는데 이때 골절 관련 카페에 하루에도 몇 번씩 들락거리면서 공부를 하고 뼈에 좋다는 음식을 챙겨서 섭취하는 등의 노력을 한 적이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뼈는 결국 붙긴 하겠지만 그 기간이 사람마다 달라 남보다 늦으면 엄청난 걱정에 휩싸이기도 하고 제때 붙더라도 붙기까지의 기간이 무척 길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골절된 뼈가 붙기까지의 시간은 개인마다 다르고 어느 부위가 골절되었느냐에 따라서도 달라지는데 기본적으로는 뼈가 붙기까지 8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부위 별로는 손가락 등의 부위가 더 빨리 붙고 허벅지나 다리, 고관절 등은 더 오래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젊거나 나이가 어릴수록 더 빨리 붙는다고 알려져 있고, 또 일반적으로도 그렇게 생각하기도 하지만 성인이 된 이후에는 뼈가 붙는 시간에 차이는 크게 없다고 합니다. (7세와 20세, 54세를 비교하면 7세, 20세, 54세의 순인데 7세가 가장 빨리 붙는 것은 맞지만 성인 이후인 22세 이후에는 22세와 60세에서의 속도의 차이는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합니다.) 

뼈가 붙는 과정

뼈가-붙는데-걸리는-시간돠-회복과정에서-주의할점

염증기 → 복원기(연성가골→경성가골) → 재형성기(리모델링)

1. 염증기

골절이 되고 1주 차까지 기간으로 골절 부위 조직의 파괴와 혈관 손상으로 인해 염증 반응이 나타납니다. 이 기간 동안은 미세혈관이 생성되고 혈류의 공급이 지속되며 대식작용을 통해 괴사 조직, 조직 파편이 사라집니다.

2. 복원기(연성가골)

골절 후 3주에서 4주까지는 조직 내 골화가 시작되고 연골 형성 세포들이 골절 부위에 생겨나기 시작하여 가골이 형성되게 됩니다.

3. 복원기(경성가골)

4주, 5주차에서 15주 차까지는 부드러운 뼈인 연성가골에 무기물들이 침착하게 되고 이로 인해 뼈가 점점 튼튼해지지만 아직은 형성된 가골이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지니지는 않은 형태입니다. 혈종이 흡수되고 가골이 자리를 잡는 기간입니다.

4. 재형성기(리모델링)

17주 차 이푸에는 골조직의 흡수와 생성이 동시에 일어납니다. 미성숙한 뼈가 파골세포를 통해 흡수되고 새로운 뼈가 조골세포를 통해 생기는 과정으로 새로운 뼈가 끊임없이 계속 생성되고 단단해지는 과정입니다.

 

골유합에서 가장 중요한 것

1. 혈관

혈액순환은 뼈가 붙기 위해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혈액순환이 되지 않을 경우 뼈의 유지와 재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뼈가 잘 붙지 않거나 붙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2. 고정

고정의 안정성은 골절의 치유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뼈가 유합되는 시기와 기간도 고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뼈와 뼈 사이에 부드러운 가골이 만들어지는데 이것이 단단한 뼈가 되기까지 골절된 부위를 최대한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충분한 안정을 취해야 합니다.

골유합에 좋지 않은 것

1. 흡연

흡연은 골형성을 억제시키는 대표적인 요인입니다. 흡연하게 되면 체내의 일산화질소 농도가 높아져 무기질이 뼈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며 뼈의 노화를 촉진시켜 뼈에 금이 가거나 뼈가 부러졌을 때 붙는 시간이 길어지거나 잘 붙지 않을 수 있습니다. 흡연을 하는 사람이 골절을 생겼을 경우 대부분의 것들은 잘 지키고 좋다는 것은 다 찾아서 하지만 금연만은 하지 못하는 환자들이 많습니다. 골절 기간 중에는 다른 것보다도 금연이 필요합니다.

2. 알코올

알코올은 염증과 출혈의 가능성을 야기하며 상처가 아무는 것을 방해합니다. 혈관을 확장시키고 피부와 혈관 내 염증을 유발하는 세포를 활성화시키며 이로 인해 항생제 등의 약물의 흡수를 방해해 염증 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며 간과 체내를 공격해 비타민D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조골세포를 해칠 수 있으며 소변을 통해 칼슘 배출을 촉진시켜 골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3. 카페인

카페인은 칼슘이 체내로 흡수되는 것을 방해하며 골밀도를 감소시킵니다.

4. 짜고 자극적인 음식

나트륨의 섭취하 증가하면 우리의 혈액은 일정량의 칼슘을 유지하기 위해 칼슘을 꺼내 사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소변으로 배출되는 칼슘의 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5. 탄산

탄산에 함유되어 있는 인 성분으로 인해 체내의 칼슘 배출이 많아질 수 있습니다.

 

뼈가 붙는 데 걸리는 시간과 골이 유합되는 시기에 주의해야 할 점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