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와 혼동하기 쉬운 인후결막염의 원인과 증상, 치료와 예방

우리의 신체는 날씨에 적응하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합니다. 부족한 에너지로 인해 면역력이 약해지게 되면 외부로부터의 공격에 취약해지고 이렇게 신체의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다양한 질환에 걸리기 쉽습니다. 눈곱 감기는 아데노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인한 질병으로 여름철 특히 많이 걸리는 질환입니다.
인후결막염의 증상과 원인, 치료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후결막염

인후결막염
결막염은 전염되지 않고 본인만 가지고 있는 알레르기성 결막염과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이 되는 바이러스성 결막염으로 나뉩니다. 이중 아데노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인후결막염은 감기 바이러스 중로 바이러스성으로 발생하며 유행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많아 주의가 필요한 안질환 중 하나입니다.
감염이 되면 약 7일 정도의 잠복기를 가지게 되고 이후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초기에는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 인두와 편도가 붓고 두통과 오한 증세 등이 동반되기도 하며 한쪽 눈에 먼저 발생한 후 다른 눈까지 옮아가는 경우가 많지만 처음 발생한 쪽보다 나중에 발병한 쪽이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증상이 감기와 유사하여 감기로 착각하고 감기약만을 복용하다가 증상을 악화되는 경우가 많아 감기라고 생각했지만 다른 때와는 달리 눈에 불편함이 느껴진다면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인후결막염의 증상

아데노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약 7일간의 잠복기를 거쳐 기침, 콧물, 발열성 인후염, 인두염과 발열, 인후통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감기에 걸렸을 때 초반에 나타나는 증상인 코막힘, 코감기, 목감기, 발열, 안구통증, 근육통 등이 나타날 수 있어 감기와 오인하기 쉽지만 이러한 감기 증상들과 눈의 충혈과 눈곱 등이 나타나는 것이 감기와 구별되는 특징입니다.

인후결막염의 치료와 예방

대부분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1~2주 사이에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전염성이 강하고 재발하기가 쉬워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는데 인후결막염을 위한 약은 따로 없기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에 따라 각 증상에 따른 치료를 하게 됩니다.
따라서 약을 복용하더라도 증상이 3주 정도는 지속되다가 완화되는 경향을 보이며 2차적인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안약 등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또한 각막의 상피에 혼탁이 발생한 경우 스테로이드 성분의 안약을 사용하여 치료를 할 수도 있습니다.
 
결막염일 때 소금물로 소독을 하면 효과가 있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눈을 소금물이 오히려 자극하여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각막에 상처를 낼 수도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직접적인 접촉이 아니더라도 손이나 물건 등을 통해서도 매우 쉽게 전염되는 특성이 있어 가족 구성원 중 한 사람이 결막염 증상을 보이는 경우 수건 등을 따로 사용하는 등의 주의가 필요하며 공공장소로의 외출 역시 가급적 삼가해야 합니다. 수분을 많이 섭취하고 충분한 휴식을 컨디션 조절을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되며 손을 자주 씻고 눈주위를 최대한 만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인후결막염과 인후결막염의 증상, 치료, 예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