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절기에 특히 약해지는 면역력 강화하기, 환절기 건강 관리 방법

환절기는 계절이 바뀌면서 낮과 밤의 일교차가 심해지고 갑자기 변화하는 기온과 환경에 우리 몸이 적응하지 못하고 건조한 바람 등으로 인해 알레르기성 비염이 많이 발생하기도 하고 재채기나 콧물, 두통, 미열 등의 감기 증상이 쉽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일교차는 하루의 최저기온과 최고기온의 차이를 뜻하는 것으로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4월, 그리고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10월에 특히 커져 이 시기에는 건강이 나빠지는 경우 역시 많아집니다.
 
기온이 갑자기 변화하면서 우리 몸이 변화된 기온에 적응하지 못하고 근육 수축이나 혈액순환 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적정한 체온을 유지하지 못해 면역력이 약해질 수 있고 면역력이 약해지면 우리 몸에 유해한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물질이 더욱 침투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어 주기 때문에 여러 가지 질환에 노출되기 쉬워집니다.
 
따라서 온도차가 심해지는 환절기에는 더욱 건강에 유의해야 합니다.
어떤 방법으로 환절기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환절기 건강관리법

1. 수분 보충

환절기-건강관리-수분보충
기도의 내벽을 이루고 있는 점막은 수분을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을 때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능력을 갖게 됩니다. 환절기에 건조해진 환경으로 기도의 내벽을 이루는 점막이 건조해질 경우 바이러스에 취약해지고 이로 인해 기관지염, 폐렴 등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체내에 수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수분을 보충하여 주어 체액의 순환을 돕고 면역력을 높여주어야 하며 건조해지기 쉬운 실내에서는 식물이나 가습기 등을 이용해 적정한 습도를 유지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2. 적절한 햇빛 쬐기

햇빛은 우리 몸에 세로토닌을 합성하여 주고 이 세로토닌은 수면을 유도하는 멜라토닌으로 바꾸어 줍니다. 햇빛을 쬐지 못하면 세로토닌의 양이 줄어들고 멜라토닌 역시 줄어들어 이로 인해 수면 패턴이 망가지고 생체 리듬이 깨질 수 있습니다.
특히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환절기에는 햇빛을 쬐는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어 생체리듬이 깨져 면역력 약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 하루에 30분 이상 의식적으로 햇빛을 쬐는 것이 좋습니다.

3. 가벼운 운동

시간이 나지 않는다면 짧은 시간이라도 스트레칭으로 근육의 긴장을 풀어 주고 이완시켜 주면 면역력 증진에 도움이 됩니다.
운동을 전혀 하지 않던 사람의 경우 갑자기 무리한 운동을 하는 것보다는 산책이나 계단 오르기 등의 운동부터 가볍게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조금 강도를 높여서 조깅이나 웨이트 등 땀을 흘릴 수 있는 운동을 일주일에 2~3회 정도 하는 것으로 늘려가면 좋습니다. 이렇게 체력을 키우는 것은 면역력을 높이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4. 손과 발 씻기

환절기에는 온도와 습도의 차이가 커 피부의 트러블이 잘 발생합니다. 외출 후에는 세균의 감염이나 외부 바이러스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돌아오자마자 가장 먼저 손발을 깨끗하게 씻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5. 얇은 겉옷 챙기기

낮과 밤의 체온이 급격하게 변화는 것은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주범입니다. 환절기의 기온 변화에 따라 갑자기 춥거나 갑자기 더울 때를 대비하여 얇은 겉옷을 준비하여 적절하게 착용하고 벗는 것이 좋습니다.

 
기온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환절기에 할 수 있는 건강 관리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모두 간편하게 실천할 수 있는 것들이므로 조금만 의식하고 생활한다면 환절기에 특별한 질병 없이 건강한 환절기를 보낼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