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티(프리텔레콤) 회선 해지 후기 ; 자필로 서류를 작성하지 않아도 인터넷에서 바로 해지 가능합니다.
지난번에 프리텔레콤에서 2년 동안 월 990원으로 유지가 가능한 요금제를 가입했었습니다.
그런데 3개월 안에 통화나 데이터를 사용해야만 2년간 월 990원이 유지된다는 것을 깜박 잊고 있다가 3개월이 지나고 보니 정상요금인 4990원이 청구되었습니다.
서브폰이기 때문에 와이파이로만 사용할 뿐 그 외의 것은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었고 월 5,000원씩 충전을 하는 선불폰을 사용하다가 아무것도 사용하지 않는데 한 달에 5,000원씩 충전을 해야 하다 보니 사용하지 못하는 금액만 10만 원이 넘게 쌓여서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 저렴한 알뜰폰 요금제로 갈아탄 것이다 보니 이렇게 되면 알뜰폰 요금제로 갈아탄 것이 아무 의미가 없어져 버렸습니다.
그래서 해지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해지를 하려고 알아보니 프리텔레콤을 비롯한 알뜰폰은 대부분 홈페이지에서 서류를 프린트로 출력하여 해당 내용을 자필로 작성한 후 고객센터에 팩스나 이메일로 서류를 보내야 처리가 된다고 되어 있었습니다.
참으로 번거롭구나 생각하여 꽤 귀찮았지만 해지를 하려면 그 방법밖에 없다고 하니 홈페이지로 들어가서 서류를 프린트했습니다.
적어야 할게 많이 프린트만 해놓고 또 한참동안 하지 않고 있었더니 다음 달에 요금이 또 청구되었습니다.
아 빨리 해야겠다 생각하고 서류를 작성하려고 마음을 먹었는데 일일이 모두 적으려고 하니 좀 헷갈리는 부분들이 있어서 검색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프리텔레콤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았는데 이게 웬걸! 해지 메뉴가 떡하니 있더라고요.
인터넷상에서는 대부분 프리텔레콤을 해지하려면 양식을 다운받은 후 자필로 작성하여 보내야 해지가 가능하다는 이야기뿐이었는데 해지 메뉴가 보이니 잠시 고민하면서 인터넷 상의 해지 메뉴에도 내용을 적고 서류도 보내야 하는 건가 등의 생각을 했지만 몇 달 동안 아무것도 안 하면서 요금도 지불했는데 시간이 매우 촉박하여 오늘 당장 처리해야 하는 일도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 홈페이지 해지 메뉴를 통해 진행을 해 보았습니다.
이미 해지가 된 것인지 해지하려는 프리텔레콤 회선이 아닌 해지한 후 연락받을 번호로 적었던 연락처로 전화가 옵니다. 주말에도 해지 처리를 하는 듯하고 전화를 받지 못하면 처리가 다시 딜레이 될 수 있으니 고객센터 연락처를 잘 기억해 두었다가 받아야 할 듯합니다.
전화를 받으면 상담원이 정말로 해지를 할 건지 물어보고 현재까지의 요금을 알려준 후 완납을 하면 해지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해당 요금에 대해 계좌이체든 카드결제든 그 자리에서 하게 되는데 저 같은 경우 카드 번호를 불러주었더니 바로 승인이 되었고 승인이 된 후 해지가 완료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은 후 전화를 끊었습니다.
알뜰폰의 경우 해지를 하려면 양식을 다운받아 자필로 작성한 후에 서류를 팩스나 이메일로 보내고 그 후 상담원과 전화로 확인을 한 후 해지가 되는 것으로 나와 있고 또 대부분 그렇게 알고 계실 텐데 인터넷을 통해 해지가 바로 가능하고 또 해지를 위해 해당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되니 어떻게 보면 KT, SKT, LG U+ 보다 더 간편한 듯도 합니다.
해지하시려는 분이 계시다면 번거롭게 진행하지 마시고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해지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3개월 안에 통화나 데이터를 사용해야만 2년간 월 990원이 유지된다는 것을 깜박 잊고 있다가 3개월이 지나고 보니 정상요금인 4990원이 청구되었습니다.
서브폰이기 때문에 와이파이로만 사용할 뿐 그 외의 것은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었고 월 5,000원씩 충전을 하는 선불폰을 사용하다가 아무것도 사용하지 않는데 한 달에 5,000원씩 충전을 해야 하다 보니 사용하지 못하는 금액만 10만 원이 넘게 쌓여서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 저렴한 알뜰폰 요금제로 갈아탄 것이다 보니 이렇게 되면 알뜰폰 요금제로 갈아탄 것이 아무 의미가 없어져 버렸습니다.
그래서 해지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해지를 하려고 알아보니 프리텔레콤을 비롯한 알뜰폰은 대부분 홈페이지에서 서류를 프린트로 출력하여 해당 내용을 자필로 작성한 후 고객센터에 팩스나 이메일로 서류를 보내야 처리가 된다고 되어 있었습니다.
참으로 번거롭구나 생각하여 꽤 귀찮았지만 해지를 하려면 그 방법밖에 없다고 하니 홈페이지로 들어가서 서류를 프린트했습니다.
적어야 할게 많이 프린트만 해놓고 또 한참동안 하지 않고 있었더니 다음 달에 요금이 또 청구되었습니다.
아 빨리 해야겠다 생각하고 서류를 작성하려고 마음을 먹었는데 일일이 모두 적으려고 하니 좀 헷갈리는 부분들이 있어서 검색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프리텔레콤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았는데 이게 웬걸! 해지 메뉴가 떡하니 있더라고요.
인터넷상에서는 대부분 프리텔레콤을 해지하려면 양식을 다운받은 후 자필로 작성하여 보내야 해지가 가능하다는 이야기뿐이었는데 해지 메뉴가 보이니 잠시 고민하면서 인터넷 상의 해지 메뉴에도 내용을 적고 서류도 보내야 하는 건가 등의 생각을 했지만 몇 달 동안 아무것도 안 하면서 요금도 지불했는데 시간이 매우 촉박하여 오늘 당장 처리해야 하는 일도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 홈페이지 해지 메뉴를 통해 진행을 해 보았습니다.
프리텔레콤 홈페이지에서 바로 해지하기
해지신청 페이지입니다.(홈페이지에서 '해지'로 검색해도 됩니다.)
그러면 이런 화면이 뜨고 모두 체크한 후 해지 신청을 누릅니다.
그러면 바로 문자가 옵니다.
그러면 바로 문자가 옵니다.
바로 해지 신청이 완료되었다는 문자가 왔습니다.
이걸로 해지가 된 것은 아니고 해지신청이 된 것일 뿐 상담원과 전화통화를 해야 합니다.
해지 신청이 완료 되면 상담원이 전화를 하는데 저의 경우에는 3일 후에 전화가 왔고 토요일이었는데도 전화가 왔습니다.
해지 신청이 완료 되면 상담원이 전화를 하는데 저의 경우에는 3일 후에 전화가 왔고 토요일이었는데도 전화가 왔습니다.
이미 해지가 된 것인지 해지하려는 프리텔레콤 회선이 아닌 해지한 후 연락받을 번호로 적었던 연락처로 전화가 옵니다. 주말에도 해지 처리를 하는 듯하고 전화를 받지 못하면 처리가 다시 딜레이 될 수 있으니 고객센터 연락처를 잘 기억해 두었다가 받아야 할 듯합니다.
전화를 받으면 상담원이 정말로 해지를 할 건지 물어보고 현재까지의 요금을 알려준 후 완납을 하면 해지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해당 요금에 대해 계좌이체든 카드결제든 그 자리에서 하게 되는데 저 같은 경우 카드 번호를 불러주었더니 바로 승인이 되었고 승인이 된 후 해지가 완료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은 후 전화를 끊었습니다.
전화를 끊으면 바로 해지가 완료되었다는 문자가 옵니다.
알뜰폰의 경우 해지를 하려면 양식을 다운받아 자필로 작성한 후에 서류를 팩스나 이메일로 보내고 그 후 상담원과 전화로 확인을 한 후 해지가 되는 것으로 나와 있고 또 대부분 그렇게 알고 계실 텐데 인터넷을 통해 해지가 바로 가능하고 또 해지를 위해 해당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되니 어떻게 보면 KT, SKT, LG U+ 보다 더 간편한 듯도 합니다.
해지하시려는 분이 계시다면 번거롭게 진행하지 마시고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해지해보시기 바랍니다.
+ 추가 내용
8월 26일 상담원과 통화를 하면서 카드로 미납 요금을 납부한 후 해지를 하였는데 8월 29일 또 신용카드에서 요금이 빠져나갔습니다.
고객센터에 전화를 해서 문의를 하니 7월 요금이 8월 29일 빠져나간 것이라고 하고 해지를 하면서 결제한 것은 8월 요금이라고 합니다. (해지를 할 때 미납된 요금이 모두 완납이 되어야 가능하다고 했는데 해지를 한 후에 왜 또 요금이 청구되는가??) 좀 이상하긴 한데 어쨌든 해지를 했다고 하더라도 그 후 추가로 요금이 청구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객센터에 전화를 해서 문의를 하니 7월 요금이 8월 29일 빠져나간 것이라고 하고 해지를 하면서 결제한 것은 8월 요금이라고 합니다. (해지를 할 때 미납된 요금이 모두 완납이 되어야 가능하다고 했는데 해지를 한 후에 왜 또 요금이 청구되는가??) 좀 이상하긴 한데 어쨌든 해지를 했다고 하더라도 그 후 추가로 요금이 청구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