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의 색깔과 상태, 냄새 등으로 자신의 건강 상태는 어떤지 살펴 봅시다.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면 모든 소화기관을 거쳐 대변으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대변은 소화 기관의 건강상태를 잘 알려주는 지표일 뿐만 아니라 소화기관에 영향을 주는 간과 쓸개, 췌장 등에 이상이 있을 때도 확인이 가능하여 자신의 대변을 체크함으로써 건강에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닌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변의 색깔이나 상태 등이 평소와 다르다면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것입니다.
대변의 색깔이나 냄새, 상태 등에 따른 건강 상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러나 드물게 직장암이나 대장암이 생겼을 때에도 변이 가늘어질 수 있으므로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고 있음에도 가는 변이 나아지지 않고 지속될 경우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대변의 색깔과 냄새, 상태 등에 따른 건강 상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따라서 대변의 색깔이나 상태 등이 평소와 다르다면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것입니다.
대변의 색깔이나 냄새, 상태 등에 따른 건강 상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변의 상태와 색깔에 따른 건강 상태
1. 대변의 상태
정상적인 대변은 수분함량이 적당하여 묽거나 딱딱하지 않으며 적당한 부피감이 있고 2cm에서 3cm 정도의 두께에 12cm에서 15cm 정도의 바나나 모양입니다.1) 대변이 가늘 경우
영양상태가 좋지 않으면 위장에서 소화되고 남은 노폐물들이 줄어들게 되어 대변의 크기가 평소보다 작아지고 가늘어질 수 있습니다. 평소에 비해 식사량이 줄어들거나 지나치게 다이어트를 했을 경우 나타날 수 있으며 식사량을 다시 원래대로 늘리고 단백질 위주의 음식을 섭취하면 정상으로 되돌아옵니다.그러나 드물게 직장암이나 대장암이 생겼을 때에도 변이 가늘어질 수 있으므로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고 있음에도 가는 변이 나아지지 않고 지속될 경우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2) 대변이 작고 동그란 경우
몸에 수분이 부족하면 장에도 수분이 부족하여 변이 충분하게 부풀지 못하게 되어 작고 동그란 모양의 대변을 보거나 대변이 계속 끊길 수 있습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면 다시 좋아질 수 있습니다.3) 묽고 찐득한 대변
평소보다 식이섬유를 지나치게 섭취했을 때 찐득한 대변을 볼 수 있으며 세균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했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을 때 일시적으로 묽은 대변을 볼 수 있습니다.2. 대변의 색깔
간에서 지방을 소화시키는 담즙이 만들어지고 이것이 담도를 거쳐 십이지장으로 이동한 후 음식물과 만나 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초록색인 담즙이 장 내의 세균과 만나면서 갈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사람마다 조금 밝은 황토색이나 갈색 등으로 다른 색깔을 보일 수 있으나 이것은 사람마다 장 내의 세균의 분포가 달라 나타나는 차이로 모두 정상 범위에 속합니다.1) 녹색 대변
담즙은 초록색을 띠므로 이 담즙이 제대로 분해되지 못하고 배설되었을 경우 초록색을 띤 대변이 나올 수 있습니다. 또한 설사가 심한 경우에도 대장을 통과하는 시간이 짧아지면서 녹색을 띠는 대변이 나올 수 있으며 녹색빛을 띠는 채소를 지나치게 많이 섭취했을 때도 대변의 색깔이 녹색을 띨 수 있습니다.2) 흰색, 회색 대변
대변에 담즙이 제대로 섞이지 않았을 때 흰색이나 회색 변 등이 나올 수 있습니다. 두부를 으깨놓은 형태나 쌀밥을 뭉쳐놓은 형태의 대변을 볼 수 있으며 담도염이나 담도암 등으로 인해 담도가 막혀 담도폐쇄증이 발생했을 때에도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3) 붉은색 변
항문과 가까운 장관에 출혈이 생길 경우 붉은색의 대변을 볼 수 있으며 궤양성 대장염, 치질, 대장암 등의 여러 가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이러한 출혈이 생길 수 있습니다.4) 검은색 변
철분제를 복용할 경우 녹색이나 검은색 대변이 나타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검은색 대변이 나오는 경우에는 식도나 위, 십이지장, 소장 등의 위장관에 출혈이 생겨 음식물에 혈액이 섞여 있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검은색으로 변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역류성 질환이나 위염, 위궤양 등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3. 대변의 냄새
어떤 음식을 섭취했느냐에 따라 장 내의 미생물은 달라지게 되는데 건강하게 음식을 섭취하면 장 내의 유산균이 많고 장 내의 균들이 균형을 이루어 대변에서 냄새가 많이 나지 않지만 육류를 많이 섭취하면 장 내의 세균 중에서 유해균의 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대변의 냄새가 일시적으로 심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변의 냄새가 심해졌다고 해서 당장에 건강에 이상이 생긴 것이라고 할 수는 없으며 섭취한 음식물이 무엇이었는지 생각해 보는 것이 좋지만 경우에 따라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한 것일 수도 있으니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주의해야 합니다.1) 지독한 냄새와 거품
지방의 흡수가 잘 되지 않았을 때는 거품이 섞인 대변이나 기름기가 많이 섞인 밝은 노란색의 대변이 나오면서 지독한 냄새를 동반할 수 있는데 지방의 90%에서 98%가 체내로 흡수되어야 정상이지만 지방의 흡수에 문제가 생기면 지방의 20%가 대변에 섞여 나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간이나 담낭, 췌장 등에 문제가 생겼을 수 있으니 이러한 대변의 형태가 지속된다면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2) 시큼한 냄새
위산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산 성분이 대변에 섞여 나오면서 대변에서 시큼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3) 비린 냄새
대장에 출혈이 생기면 대변에 피비린내가 섞이면서 이러한 냄새가 날 수 있는데 따라서 대변에서 비린 냄새가 나는 경우 대변의 색깔이 붉은색이나 검은색을 띠지는 않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4) 생선이 썩은 듯한 악취
대장암 환자의 경우 대장 조직이 부패하면서 대변에서 악취가 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식습관을 하고 있으며 평소와 식습관이 변하지 않았는데 이러한 증상이 생기는 경우 대장 내시경을 받아 원인을 알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대변의 색깔과 냄새, 상태 등에 따른 건강 상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 소변의 색깔과 상태, 소변 보는 횟수 등을 확인하여 나의 건강 상태는 어떤지 확인해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