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옷을 정리하려고 할 때 옷의 상태, 무게 등에 따라서 어떻게 정리하는 것이 가장 좋을지 알아보기

헌옷이 많다면 버리는 것보다는 용돈이라도 버는 방법으로 정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리할 의류가 어느 정도의 무게 이상이 되면 그냥 헌옷 수거함에 버리기보다는 업체 등을 이용하여 소소한 용돈을 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말 소소한 용돈 정도이기 때문에 단 몇천 원을 받더라도 판매가 가능한 상태라면 개인거래를 통해서 판매를 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일일이 판매를 하기가 귀찮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헌옷을 어느 정도 모았을 때 상태별, 무게별로 어떻게 정리하는 것이 가장 좋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헌옷을 정리하는 여러 가지 방법

헌옷을 정리하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1. 기부
2. 헌옷 수거 업체 이용(많은 경우와 적은 경우)
3. 동네 고물상에 판매

이렇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1번의 기부와 2번의 헌옷 수거 업체를 이용해 보았는데 각각의 장단점과 이용 후기에 대해 간단히 포스팅하고 각각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헌옷 정리하고 용돈 버는 방법

1. 기부

의류나 가방 등 정리하고자 하는 물품들이 상태가 좋고 나름 값이 나가는 것들이지만 유행은 꽤 지나서 판매하기에는 애매한 물품인 경우 기부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헌옷은 상태나 옷의 가치 등과 상관없이 무게로 금액을 일괄 적용하지만 기부는 이보다 더 큰 금액으로 인정을 해줍니다. 여기에서 인정받은 금액의 15%를 연말 정상 시에 돌려받을 수 있기 때문에 괜찮은 상품이 많으면서 직장인인 경우에는 기부를 생각해 볼 만합니다.
 
다만 무게로 무조건 금액을 인정해 주는 헌옷수거업체와는 달리 제품의 상태를 일일이 보고 하나씩 가격을 책정하기 때문에 상태가 좋지 않은 의류는 보낸다고 하더라도 금액이 책정되지 않을 수 있어 말 그대로 헌옷인 경우에는 헌옷수거업체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2014년 경 처음으로 아름다운 가게의 기부를 이용해 보았는데 당시에는 3박스 이상이어야 가능하다는 기준이 없었고 두 박스 정도를 정리해서 보냈는데 25만 원 정도로 기부 금액이 인정되었습니다.
 
그 후 3년쯤 지나 다시 생각이 나서 2017년쯤 다시 신청을 해 보았는데 매우 큰 박스로 3박스 이상이어야 수거가 가능하다는 조건이 붙어 있었고 만약 3박스가 되지 않는다면 직접 택배비를 부담하여 본인이 보내야 했습니다. 
개인이 택배를 보내려면 무게가 꽤 나가 택배비를 빼면 남는 금액이 없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리할 옷이 수거가 가능한 정도의 양인지 확인을 한 후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황이나 때에 따라 다르겠지만 2014년에 신청을 했을 때에는 신청을 하루 2, 3일 후 바로 수거를 해 갔지만 2017년에는 신청을 하니 가장 빠른 수거 날짜가 2달 후였어서 급하게 정리를 해야 한다면 이용하기 힘들 수 있으며 신청을 먼저 해놓고 그 기간 동안 옷을 천천히 정리해서 보낼 생각이라면 이용해 볼 만합니다.
 
아무튼 2017년에는 처음 보냈을 때보다 3배 가까운 양의 의류를 보냈고 상태도 훨씬 좋은 것이 제 기준에 많다고 생각했지만 총 기부금액은 20만 원 정도가 책정되었고, 2019년쯤 다시 한번 신청을 해서 보내 보았는데 2017년에 보낸 정도의 양과 매우 값나가는 의류들도 많았지만 13만 원 정도가 책정되었습니다.(기부금액이 13만 원이 책정되었을 경우 연말정산에서 돌려받는 금액은 18,500원 정도가 됩니다.)
 
  
가격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추세인듯하고 다른 불편한 점들도 많아(신청 후 수거까지 너무 오래 기다려야 한다는 점, 그쪽에서 제시하는 규격의 박스를 구해서 그곳에 담아 보내야 한다는 점 등) 그 후에는 이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금액은 헌 옷 수거 업체를 통해 무게로 정산받는 것보다 처음에 보냈을 때는 훨씬 더 이득이었지만 그 후에 보낸 건은 비슷하거나 조금 더 이득인 정도였을 거라는 생각이 들고 가격이 점점 너무 낮아지고 있어 요즘 다시 보낸다면 무게로 금액을 매겨주는 헌옷수거업체에 비해 더 이득이라고 정확하게 말할 수는 없을 듯합니다.

2. 헌옷수거 업체

2020년 아름다운 가게를 더 이상 이용하지 않기로 하고 어떻게 옷을 정리할까 생각하다가 헌옷수거업체라는 곳을 알게 되어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당시에 1kg에 500원인 업체에 연락을 해서 100kg 정도를 정리했고 6만 원 정도를 받았는데 그 후에는 1kg당 가격이 계속 가격이 100원에서 300원대 정도에서 왔다 갔다 했기 때문에 이용하지 않았고 얼마 전 1kg에 600원, 650원까지 가격이 올라간 것을 알고 한 번 다시 이용했습니다. 이번에는 26kg을 정리하고 15,600원을 정산받았습니다.
 
헌 옷 수거 업체를 이용할 경우 업체마다 가격 차이가 꽤 많이 나기 때문에 몇 군데 이상 알아보고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업체에 따라 20kg를 요구하는 곳도 있고 30kg 이상을 요구하는 곳도 있기 때문에 정리하려는 옷이 얼마나 되는지도 확인한 후 선택해야 합니다.


+ 리클
리클
최근에 리클이라는 곳이 생겼는데 의류나 가방이 총 20개가 되면 수거가 가능한 곳입니다.
저는 이용해 보지는 않았지만 비대면으로 수거하며 수거가 불가능한 지역은 택배로 수거해 준다고 하니 헌옷수거업체를 이용할 만큼의 양이 되지 않는다면 이용해 볼만한듯합니다.
또한 플러스 매입이라는 것이 있어서 kg으로 일괄 판매하기 아까운 정도의 상태가 좋은 의류의 경우에는 플러스매입을 신청해 볼 수 있습니다.(다만 리클의 경우 성인 의류와 가방만 가능해 아이옷을 정리할 때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3. 고물상

기부는 재판매가 가능한 의류만 가능하고, 헌옷 수거 업체 역시 재사용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심하게 훼손되거나 오염된 것을 받지 않지만 고물상의 경우 웬만한 헌옷은 다 받아준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역시 kg으로 무게를 재서 금액이 책정되며 헌옷수거 업체와 비교하면 금액이 조금 낮지만(헌 옷 수거업체 대비 50~60% 정도) 헌 옷 수거업체를 부를 만큼의 무게가 되지 않더라도 무게와 상관없이 근처 고물상을 검색해서 직접 갖다주고 그 자리에서 금액을 정산받을 수 있습니다.

 
의류나 잡화를 정리하려고 할 때 상태나 무게 등에 따라 어떤 방법으로 정리하면 좋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예전에는 그냥 의류 수거함에 넣곤 했지만 요즘은 웬만하면 조금이라도 소소하게 용돈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정리할 것이 많은 경우 치킨값정도는 벌 수 있으니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